5G 인프라, 5G-V2X 기술, 정밀측위, 지능형 관제 시스템 공개로 기술 차별화

18일 서울 광화문 KT 사옥에서 열린 '2018 1회 퓨처포럼'에서 KT 융합기술원 전홍범 안프라연구소장이 '5G 자율주행 플랫폼'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18일 서울 광화문 KT 사옥에서 열린 '2018 1회 퓨처포럼'에서 KT 융합기술원 전홍범 안프라연구소장이 '5G 자율주행 플랫폼'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KT(회장 황창규)가 서울 광화문 KT WEST 사옥에서 ‘2018 1회 퓨처포럼’을 개최하고 평창에서 검증한 KT의 5G 혁신기술을 기반으로 한 상용 자율주행 플랫폼(5GaaVP: 5G as a Vehicle Platform)을 개발한다고 18일 발표했다.

KT는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할 핵심 기술로 5G를 통한 자율주행을 강조했으며, ‘15년부터 준비해온 5G 인프라, 5G-V2X(차량-만물간 통신)기술, 정밀측위, 지능형 관제 시스템을 공개했다. 또한 이러한 기술을 기반으로 향후 ‘5G 자율주행 플랫폼’ 사업자로 거듭나려 한다며, 판교와 대구 등에서 추진 중인 자율주행 실증단지 사업과 이를 통한 개방형 생태계 조성 계획도 소개했다.

이날 발표에서 시장조사기관 나비간트 리서치(Navigant Research)의 보고서 '자율주행 기술의 리더(Leaderboard Report : Automated Driving)'를 인용, 교통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2020년부터 자율주행 시장이 개화할 것으로 전망하고 진입 준비를 본격화한다고 밝혔다.

조사에 따르면 기존 차량이 자율주행 차량으로 점진적으로 대체될 것이며, 2035년에는 도로 위의 약 75%의 차량이 자율주행차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또한 기존 차량의50%가 자율주행차로 대체되면 글로벌 추산 연간 약 250조원의 경제효과를 예상하고 있다.

특히 최근 들어 글로벌 업체들이 자율주행 시장에 뛰어들고 있어 이 규모는 더욱 커질 것으로 보여, KT는 5G 혁신기술을 통해 미리 관련시장을 공략한다는 계획이다.

지금까지 자율주행 차량은 차량의 센서와 라이다 등 자체 감지능력에만 의존하여 운행되었기에, 돌발상황 대처 등에 미흡한 상황이 종종 있었다. 하지만 KT는 4대 핵심기술이 적용된 ‘5G 자율주행’ 기술이 상용화되면 차량과 차량, 차량과 인프라가 동시에 연결되고 위험에 미리 대처할 수 있어 자율주행으로 인한 사고를 막을 수 있다고 밝혔다. 

한편 KT의 4대 핵심기술은 ▶안정적 커버리지와 이동성을 제공하는 [KT 5G 인프라] ▶초저지연 차량 연결성을 제공하는 [5G-V2X] 기술로 KT 5G 네트워크를 통해 차량과 교통인프라가 1~7ms (millisecond:1/1000초) 수준의 초저지연으로 연결되어, 센서 방식의 기존 자율주행보다 더 안전한 자율주행을 구현할 수 있다. ▶전국 어디서나 동일한 KT의 [정밀측위] 기술로 KT는 현재 위치를 최대 30cm 단위로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정밀측위 기술을 개발하고, 플랫폼 형태로 제공한다. ▶차량통신 빅데이터 기반 플랫폼 구축으로 [지능형 관제] 실현 등이다.

KT는 이러한 4대 핵심 기술을 토대로 차량의 안전운행과 편의성을 위한 인프라를 제공하는 ‘5G 자율주행 플랫폼(5G as a Vehicle Platform)’을 개발한다. 이 플랫폼은 개방형으로 구축해 다양한 서드파티를 참여시켜 관련 생태계 활성화에도 기여할 예정으로 KT는 국내 최초 자율주행 실증단지인 경기도 성남의 ‘판교제로시티’에서 다음 달부터 5G 자율주행버스를 선보일 예정이다.

 

저작권자 © 인공지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