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A 2013∼2018년 추이 분석...연평균 성장률 9.0%로 세계 3위 생산국 반열
세계 전자산업 생산비중 8.8%, 202조원 차지

한국이 반도체 경쟁력을 앞세워 일본을 제치고 세계 3위의 전자산업 생산국에 올랐다.

한국 전자산업, 日 제치고 세계 3위에 올라(사진:본지)

전통적인 전자 강국을 자부해 온 일본이 최근 한국에 대해 반도체·디스플레이 소재 수출을 비롯해 전반적인 통상 압박을 가해오는 것과도 이와 무관치 않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우리나라는 특히 최근 5년간 주요국 가운데 3번째로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며 '글로벌 IT 강국'의 입지를 굳혔으나 반도체 등 전자부품에 대한 지나친 '편중'은 극복해야 할 과제라는 지적도 나왔다.

30일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KEA)가 발간한 '세계 전자산업 주요국 생산동향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전자산업 생산액은 1711억100만달러(약 202조 7000억원)로 집계됐다.

전세계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8.8%로, 중국(7172억 6600달러·37.2%)과 미국(2454만 2200만달러·12.6%)에 이어 3번째였다.

5년전인 2013년(1111억 7900만달러)과 비교하면 53.3%나 늘어난 것으로, 순위도 일본을 제치고 한 계단 올라섰다.

출처:KEA
출처:KEA

특히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이 9.0%에 달하면서 상위 20개국 가운데 베트남(11.7%)과 인도(10.9%)에 이어 세번째로 높았다. 중국과 미국은 각각 2.9%와 1.0%였고, 일본은 -2.3%를 기록하며 '역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한국은 지난해 전체 전자산업 생산에서 차지한 전자부품 비중이 77.3%로, 5년 전보다 18.8%포인트나 높아지면서 의존도가 심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무선통신기기와 컴퓨터가 각각 10.0%와 7.8%로 그 뒤를 이었다.

업계 관계자는 "지난 2017년과 지난해 글로벌 메모리 반도체 시장의 '슈퍼호황' 덕분에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역대 최고 실적을 올리면서 전자부품 비중이 큰 폭으로 확대됐다"면서 "덕분에 경쟁국인 일본을 제치고 3위로 올라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중국의 경우 가장 비중이 큰 컴퓨터 분야가 전체의 34.2%를 차지했고, 미국도 무선통신기기 분야의 비중이 최대였으나 32.3%에 그치며 분야별로 비교적 고른 분포를 보였다. 일본은 전자부품 분야 비중이 56.6%로 가장 높았다.

부문별로는 전세계 전자부품 생산에서 지난해 한국이 19.2%의 비중으로, 중국(24.1%)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무선통신기기는 4.3%의 비중을 차지하며 중국(46.4%)과 미국(20.0%), 베트남(.8%), 인도(4.4%)에 이어 5번째였고, 컴퓨터(3.3%)도 중국(59.7%)과 멕시코(6.0%), 미국(4.9%), 일본(4.0%)에 이어 5위에 랭크됐다.

업계에서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LG전자 등 대기업을 중심으로 연구개발(R&D)과 설비에 적극적으로 투자하면서 한국이 전세계 전자업계에서 입지를 넓혔으나 반도체 의존도가 지나치게 높아 중국, 미국 등과 비교했을 때 '충격'에 취약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최근 일본의 대(對)한국 소재 수출 규제와 같은 '돌발변수'가 발생했을 때 '공포 지수'가 급격히 올라갈 수 있다는 것이다.

KEA 관계자는 그러나 "그런 우려도 나올 수 있지만 반도체는 분명히 높게 평가해야 할 성공 사례이고, 다른 산업이 따르지 못했다고 보는 게 더 적절하다"면서 "제2, 제3의 삼성전자가 나와야 한다"고 말했다.

또 "중국의 경우 자국 업체도 많이 성장했지만 미국과 한국, 일본 업체들의 현지 공장이 많은 점이 세계 1위 자리를 지키는 요인"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인공지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