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가포르 정부는 화물의 수요예측을 비롯한 5개 분야를 중심으로 인공지능(AI) 연구개발에 주력해 오는 2030년까지 단계적으로 AI 실용화 범위를 확대해 나간다는 AI 국가전략을 내놓았다.
싱가포르 정부는 화물의 수요예측을 비롯한 5개 분야를 중심으로 인공지능(AI) 연구개발에 주력해 오는 2030년까지 단계적으로 AI 실용화 범위를 확대해 나간다는 AI 국가전략을 내놓았다.

싱가포르 정부가 최근 인공지능(AI)에 관한 최초의 국가전략을 지난 13일 발표했다.

일본경제신문 보도에 따르면 싱가포르 AI 국가전략은 화물의 수요예측을 비롯한 5개 분야를 중심으로 AI 연구개발에 주력해 오는 2030년까지 단계적으로 AI 실용화 범위를 확대해 나간다는 내용을 골자로 하며, 첨단기술을 효율적인 국가 운영을 위해 활용하는 동시에 동남아시아 AI 연구개발의 핵심 거점으로 위상을 확보한다는 목표를 내걸고 있다.

헨 스위 키트(Heng Swee Keat) 재무장관은 이날 발표에서 “천연자원이 부족한 싱가포르는 지금까지도 혁신의 힘으로 제약을 극복하고 경쟁력 있는 경제와 선진 사회를 만들어왔다”고 지적했다. 이어 “앞으로 AI를 국가 차원에서 활용해 나가겠다”며 AI의 활용이 경쟁력을 유지하는 관건이라는 인식을 나타냈다.

싱가포르는 지금까지 AI의 연구·개발 촉진 정책을 실시해 왔으나, 국가 전략으로 내세우는 것은 처음이다. 캐나다 조사기관 CIFAR에 따르면 영국이나 프랑스, ​​호주 등도 AI 관련 국가 전략을 책정했다.

싱가포르 정부는 이번 AI 국가 전략에서 화물의 수요예측, 질병예방, 국경의 통관절차, 학생의 능력에 맞는 교육시스템, 공공주택의 유지관리 등 자치 서비스를 중점 분야로 내걸었다. 예를 들어, 화물의 수요예측에서는 2022년까지 실용 가능한 데이터의 공유 시스템을 구축한 후, 2025년에 해상화물에 2030년에는 항공·육상화물의 수요예측으로 적용 범위를 확대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질병 예방에서는 2025년까지 순환기질환의 발병 위험을 진단하는 시스템의 개발을 목표로 한다.

5개 중점 분야는 모두 싱가포르의 경쟁력과 국민 생활에 직결되는 분야이다. 예를 들어, 싱가포르는 아시아의 무역이나 항공·해상수송의 중계 기지로 잘 알려져 있다. AI를 활용해 화물의 체류나 통관절차에 따른 지체를 줄임으로써 중간 기착지로서의 경쟁력을 높여 나갈 수 있는 것이다. 노인인구의 증가로 의료비가 확대되고 있는 상황에서, 미래의 발병위험을 조기에 발견해 사회보장비용을 줄이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싱가포르 정부는 이러한 목표의 실현을 위해 대학이나 자국내외 기업과 연구개발에서 제휴하는 동시에 전문 인력 육성도 진행해 나갈 계획이다.

저작권자 © 인공지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