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세균 국무총리가 이달 6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12회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사진:과기정통부)
정세균 국무총리가 이달 6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12회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사진:과기정통부)

정부가 10년 후 상용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6세대(6G) 이동통신 기술 확보에 내년부터 5년간 2000억원을 투자한다. 5G보다 50배 빠른 1Tbps급 전송속도를 자랑하는 6G 원천 기술을 확보해 '특허 세계 1위', 스마트폰 시장점유율 세계 1위, 장비 시장 점유율 세계 2위'를 달성한다는 목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최기영)는 6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6세대(6G) 이동통신 시대를 선도하기 위한 미래 이동통신 R&D 추진전략(이하 6G R&D 전략)’을 수립하고, 제12회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에서 확정, 발표했다. 코로나19이 가져온 비대면화, 디지털화에 대응하고 미래 신산업 성장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행보다.

통신 부품의 외산 의존도를 줄이고, 융합서비스 확산을 위한 생태계 조성을 미리부터 만든다는 복안이다. 6G 상용화가 2028~2030년께 시작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2021~2025년의 5년 동안은 핵심기술 개발을 하고, 2026~2028년의 3년간은 상용화지원에 나서기로 했다. 우선 초성능, 초대역, 초정밀, 초공간, 초지능의 6G 핵심 기술개발에 나선다. 미국, 중국 등 주요국간 기술패권 경쟁이 심화되는 상황임을 고려해, 각국의 선도 연구기관이나 표준화단체와 국제공조도 강화한다.

6G 기술은 1Tbps급 전송 속도, 저궤도 위성통신 기반 공중 10km까지 확대된 통신 커버리지 등 5G를 뛰어넘는 기술적 진화를 통해 실시간 원격수술, 완전 자율주행차‧플라잉카 등 고도화된 융합서비스의 대중화가 가능(‘28~‘30년 경 상용화 예상)
6G 기술은 1Tbps급 전송 속도, 저궤도 위성통신 기반 공중 10km까지 확대된 통신 커버리지 등 5G를 뛰어넘는 기술적 진화를 통해 실시간 원격수술, 완전 자율주행차‧플라잉카 등 고도화된 융합서비스의 대중화가 가능(‘28~‘30년 경 상용화 예상)

중국과는 주파수채널 모델링, 미국가는 모뎀, 유럽과는 엑세스 코어 장비에 대한 공동연구를 추진한다. 또한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의 국제 표준화 단계별 선제 연구와 비전수립 등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표준특허 확보 역량을 키운다. 6G 핵심부품과 장비의 국산화에 활용될 수 있는 시작품(HW, SW)을 개발하고, 상용화 시점에는 유망 중소기업의 기술 사업화를 위한 바우처 방식 R&D도 지원할 예정이다.

과기정통부는 “이동통신 인프라는 디지털 뉴딜의 한 축인 데이터 고속도로의 핵심이자, 사회와 산업 발전의 필수 기반기술로서 통상 10년 주기로 세대가 전환된다”며 “각 세대의 기술 등장 시 시장 주도권을 가진 기업들의 지형이 급변했던 점을 고려할 때 이동통신 세계시장 주도권 확보를 위해서는 한발 앞선 기술개발과 표준 선점이 필수”라고 의미를 설명했다.

실제 2001년 일본이 3G를 세계 최초로 서비스한 이후 4G는 2009년 유럽에서, 5G는 2019년 한국이 상용화를 시작했고, 6G는 2028~2030년 상용화가 되고 있다. 특히, 미국·중국 등 세계 주요국들은 5G 다음 세대 기술인 6G 선점 경쟁에 돌입한 상황이다.

정부는 2021년부터 5년간 2147억원을 투입해 6G 전략과제를 육성한다.
정부는 2021년부터 5년간 2147억원을 투입해 6G 전략과제를 육성한다.

6G 기술은 1Tbps급 전송 속도, 저궤도 위성통신 기반 공중 10km까지 확대된 통신 커버리지 등 5G를 뛰어넘는 기술적 진화를 통해 실시간 원격수술, 완전 자율주행차‧플라잉카 등 고도화된 융합서비스의 대중화를 가능케 할 것으로 예상된다. 과기정통부는 “ 세계최초 5G 상용화에 따른 성과에도 불구, 상용화 초기 겪고 있는 핵심부품의 높은 외산 의존도, 5G 기반 융합서비스(B2B) 확산저조 등은 향후 극복해야 할 과제로 남아 있는 상황”이라면서 “미래 신산업의 성장 기반을 확보를 위해 6G R&D 전략을 마련하게 됐다”고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상상이 현실이 되는 6G 시대 선도’를 비전으로 차세대 기술선점, 표준․고부가가치 특허 확보, 연구․산업 기반조성 등 3개 전략 8개 과제를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먼저, 과기정통부는 저궤도 위성통신 기술개발 등 당장의 민간 투자가 어려운 도전적이고 선도적인 수준의 6G 핵심기술개발을 통해 5G의 기술적 한계를 극복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미국, 중국 등 주요국간 기술 주도권 경쟁이 심화되는 상황임을 고려해 각 국의 선도 연구기관과 표준화 단체와의 기술교류를 통한 최신 기술동향 공유와 공동연구 추진 등 국제공조도 강화해 나갈 방침으로 기술개발이 완료되는 2026년부터는 5G 5대 서비스에 Pre-6G 기술(상용화 전)을 적용하는 6G-업그레이드 시범사업 추진을 통해 개발된 기술이 서비스로 안착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6G-Upgrade 시범사업 예시
6G-Upgrade 시범사업 예시

과기정통부는 내년부터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의 6G 국제 표준화 착수가 예상됨에 따라 6G 비전수립, 요구사항 정의 등 ITU의 국제 표준화 단계별 선제연구와 국제공조 강화를 통해 표준경쟁에서 불확실성을 최소화하고, 우리기술의 최종 국제표준선점을 견인한다는 계획이다..

특허청과 협력해 표준특허 확보 가능성이 높은 기술을 집중 발굴하는 표준특허 전략맵을 구축하고, IP-R&D 방식을 적용해 기업·기관에 R&D 자금과 표준특허 확보전략을 패키지로 지원한다. 아울러, 표준 전문조직(연구실) 육성, 국제 표준화 회의 국내 유치, 우리기업의 국제 표준화 활동지원 등을 통해 국제표준화 시장에서 우리나라의 역할‧기여도를 향상시켜 나갈 계획이다.

또 6G 핵심기술 요구 성능 검증과 핵심부품‧장비의 국산화에 활용될 수 있는 시작품(HW, SW)을 개발하고, 상용화 시점에는 유망 중소기업의 기술 사업화를 위한 바우처 방식 R&D를 지원할 예정이며, 재직자 대상 이론교육, 학생 대상 현장학습 등 R&D 참여 대학과 기업 간 연계를 강화하고, 우수 온라인 교육 콘텐츠와 실시간 아이디어·노하우 공유 플랫폼 제공 등을 통해 6G 전문 인재 양성에도 힘쓸 계획이다.

특히, 정부는 산․학․연 전문가의 역량 결집을 위해, 민․관이 함께 참여하는 ‘6G R&D 전략위원회’와 ‘6G 핵심기술개발 사업단’을 구성․운영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산업계와 관련 전문가의 현장의 목소리를 듣고, 사업 전반에 대한 목표와 추진현황, 성과를 공유․검증해 국제 표준화 동향, 시장 요구사항 등을 고려, 필요시 조정해 나갈 계획이다.

정부는 6G R&D 전략의 충실한 이행을 통해 5G에 이어 6G에서도 세계최초 상용화를 실현하고 글로벌 시장을 주도해 나갈 계획이다.

과기정통부는 “6G 핵심표준특허 보유 세계 1위,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세계 1위, 장비 시장 점유율 세계 2위 등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며 “5G에서는 부족했던 소부장 분야를 육성하여 국내 네트워크 생태계에 활력을 불어넣고, 6G 관련 보안 산업과 융합서비스 시장도 발굴, 육성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인공지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