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안부, 'AI기반 CCTV 영상인식 교통량 분석모델’ 이달 말부터 정부와 지자체, 공공기관에 보급 시작

CCTV 영상분석을 통한 차선‧차종별 차량감지 시연 화면(사진:행안부)
CCTV 영상분석을 통한 차선‧차종별 차량감지 시연 화면(사진:행안부)

전국 도로에 설치된 CCTV 영상을 인공지능(AI)이 분석하여 차종과 교통량을 자동으로 파악할 수 있는 데이터 분석모델이 개발되어 현장에서 활용될 전망이다.

행정안전부 통합데이터분석센터는 지난해 10월부터 추진해온 '인공지능(AI)기반 CCTV 영상인식 교통량 분석모델’ 개발을 마치고 이달 말부터 정부와 지자체, 공공기관에 보급을 시작한다고 18일 밝혔다.

이번에 개발된 모델은 CCTV를 통해 확보된 영상을 인공지능(AI)이 도로교통량조사 기준인 12종으로 자동분류하고, 차량이 통과하는 차선위치를 파악하여 차선‧차종별 통행량을 집계하게 된다.

차종‧차선별 통행량을 자동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되어, 업무효율을 높이고 교통체증 해소와 안전확보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모델개발 과정에는 서울 동작구, 경북 안동시에 설치된 CCTV 51개소를 통해 확보된, 20테라바이트(TB) 분량(DVD영화 약4,200편)의 영상데이터가 활용되었으며, 차종 판독 정확도는 94% 수준으로 매우 높았다.

CCTV를 통해 확보된 영상을 바탕으로 17만 대의 차량 이미지를 추출했고, 반복학습을 통해 인공지능(AI)이 차종을 구분할 수 있도록 했으며, 별도의 CCTV 설치 또는 교체 없이도 기존 도로에 설치되어 있는 CCTV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도 특징이다.

통합데이터분석센터는 ‘인공지능(AI)기반 CCTV 교통량 분석모델’이 교통정체 해소, 대기질 개선, 도로안전 확보, 교통량 조사 등 다양한 방면에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예를 들어, CCTV 영상을 분석하여 출퇴근 상습정체가 확인된 교차로의 경우 직진‧좌회전 차선을 확대 조정함으로써 정체해소와 공회전 감소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대형차량 통행량이 많은 지역에서는 도로 상습파손과 미세먼지 발생 가능성이 높은 만큼 도로 사전점검과 살수차 운행으로 사고예방과 미세먼지 저감효과에도 기여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 밖에도 기존에는 수작업으로 진행되었던 교통량조사도 자동화할 수 있게 되어 행정효율성과 정확도를 높일 수 있게 될 것으로 예측했다.

통합데이터분석센터는 이번 모델을 각 기관에서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표준화하고 사용자들이 별도의 분석기술 없이도 손쉽게 업무에 적용할 수 있도록 온라인 서비스도 지원할 계획이다.

지난달 오픈한 ‘범정부 데이터 분석시스템’에 온라인 자동분석 기능을 탑재하여 사용자가 CCTV에서 추출한 동영상을 업로드하면 자동으로 교통량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 정선용 정부혁신조직실장은 “교통 및 국민안전과 관련된 이번 분석모델 개발은 공공데이터를 분석하여 국민 삶의 질을 높이고 현장행정의 효율성을 높이는 새로운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라며, “앞으로도 실효성있는 데이터분석을 통해 국민의 마음에 더욱 가까이 다가서는 정책이 만들어질 수 있도록 지원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인공지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