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본지DB
이미지:본지DB

지난 2년간 연세대학교 의료원(이하 ‘연세의료원’)과 20개 기관이 협력하여 개발한 5G 기반 인공지능(AI) 응급의료시스템이 26일부터 실제 응급현장에 도입되어 실증에 들어간다.

5G 기반 인공지능(AI) 응급의료시스템은 중증응급환자의 병원 이송과 응급처치를 보조하는 지능형 응급의료시스템으로 서울 서북 3구(서대문・마포・은평)와 경기 고양시에서 36대 119 구급차와 9개 응급의료기관에 구축을 마치고 시범적으로 운영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임혜숙, 이하 ‘과기정통부’)는 연세의료원 컨소시엄(사업단장 장혁재 연세대 의과대학 교수)에서 개발한 5G 기반 인공지능 응급의료시스템(이하 ‘지능형 응급의료시스템’)’의 실증 착수 선포식을 26일 연세대학교 백양누리 그랜드볼룸에서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는 조경식 과기정통부 제2차관을 비롯하여 실증지역 지방자치단체장, 시스템 개발에 참여한 의료기관 및 정보통신기술 기업, 소방청 관계자 등 30여 명이 참석했다.

선포식에서는 지능형 응급의료시스템의 개발 성과, 서울 서북3구(서대문・마포・은평)와 경기 고양시에서 연말까지 진행하는 실증계획이 소개되었고, 심혈관 질환 환자가 발생한 상황을 가정하여 지능형 응급의료시스템이 구축된 구급차 안에서의 응급처치, 응급의료센터 선정, 최적경로 이송 과정 등이 재연되었다.

지능형 응급의료시스템은 구급차 안에서 실시간으로 중증응급환자의 다양한 정보(음성, 영상, 생체신호)를 수집하여 5G를 통해 인터넷기반 자원공유(클라우드) 기반 응급의료 통합분석 플랫폼으로 전송한다.

이를 바탕으로 플랫폼은 바로 응급환자의 중증도를 분류, 표준처치 매뉴얼 제시, 구급활동 일지 자동 작성, 치료 적합 병원 선정, 최적 이송경로 제공 등을 지원하며, 구급차 내 상황이 응급의료센터 의료진에게 실시간 영상으로 전송되어 응급환자의 상태를 확인하면서 최적의 치료 준비를 할 수 있게 도와준다.

우리나라 응급의료 체계는 빠르게 발전하고 있으나 여전히 중증응급환자의 전원율이 선진국보다 높고, 응급처치와 환자 이송을 전담하는 119구급대원에게 제한이 많은 상황이다.

과기정통부는 디지털 정부혁신 대표과제로서 지능형 응급의료시스템이 실제 응급현장에 투입되어 가시적인 성과가 나오면 현재의 응급의료체계를 한층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면서 관계부처와 전국 확산을 모색해 나갈 계획이다.

조경식 과기정통부 제2차관은 “지능형 응급의료시스템이 실증을 통해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완성되길 바란다.”고 말하면서 실증지역 지자체 및 관계기관의 지속적인 관심과 협조를 당부하였다.

아울러, “디지털 뉴딜로 의료 분야의 디지털 전환이 빨라지고 있는 만큼 국민들이 보다 빨리 체감할 수 있도록 닥터앤서, 클라우드 병원정보시스템과 함께 지능형 응급의료시스템의 전국 확산을 적극 지원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인공지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