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WMD대응 등 전략적 투자 필요한 10대 분야 30개 국방전략기술 선정과 과학기술 강군 건설의 목표 달성을 위한 5대 추진전략 설정

국방부는 19일,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심의·의결을 거쳐 '2023~2037 국방과학기술혁신 기본계획'을 확정지었다.

’23~’37 국방과학기술혁신 기본계획은 ‘국방과학기술혁신 촉진법’에 근거하여 5년마다 수립되는 국방기획체계 상의 기획문서로서 ’19~’33 국방과학기술진흥 정책서 수립(’19.7) 이후 기술발전 추세, 주요정책 및 안보환경 등 국내‧외 정책여건 변화를 반영하였고, 국방부가 수립하는 '국방전략서'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수립하는 '과학기술 기본계획'을 상위지침으로 하며, 방위사업청이 작성하는 '국방과학기술혁신 시행계획' 및 '국방기술기획서' 작성에 기준을 제공한다.

특히, 본 기본계획은 미래전장을 주도할 과학기술 강군 건설이라는 비전 아래 인공지능(AI)·첨단과학기술 기반 구축 및 국가적 차원의 국방연구개발 역량 확보를 목표로 하는 중·장기 정책방향과 추진전략을 담고 있다.

’23~’37 국방과학기술혁신 기본계획 수립을 위해 국방부는 ’21. 11월, 유관부처 및 관련기관과 국방과학기술혁신 업무협력 TF를 구성하여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선행연구 및 의견 수렴을 실시하였고, ’22. 8월, 7차에 거친 TF회의 끝에 10대 분야 30개 국방전략기술을 최종 선정한 것이다.

미래전장 분석 기반 10대 분야 30개 국방전략기술
미래전장 분석 기반 10대 분야 30개 국방전략기술

먼저, 국방전략기술이란 △국가안보 유지, △미래전장 선도, △국가 과학기술 융합 관점에서 국방목표 달성을 위해 전략적 투자 및 육성이 필요한 기술을 의미하며, △전략적 중요성, △기술 혁신성, △개발 시급성, △확보 가능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선정됐다.

10대 전략기술 분야는 인공지능, 유·무인 복합, 양자, 우주, 에너지, 첨단소재, 사이버·네트워크, 센서·전자기전, 추진, WMD대응 등을 골자로 한다.

또한, 과학기술 강군 건설의 목표 달성을 위한 5대 추진전략을 설정하였다.

첫째, 현존 위협 및 미래전장 대비를 위하여 첨단기술 분야에 집중적으로 투자하는 것으로  기술개발 역량을 확보하고, 미래전장 환경에 대비할 수 있는 국방전략기술을 적극 지원·육성하고 국방연구개발 예산 규모 확대 노력을 지속하여 국방비 중 국방 R&D 비중을 ’27년 10% 수준까지 단계적으로 확대한다.

둘째, 혁신·개방·융합의 국방과학기술 발전을 위해 제도적 기반을 마련을 위해 도전적 연구개발 환경 조성을 위해 결과와 과정 모두가 중시되도록 제도를 개선하며, 개방형 국방연구개발 수행체계를 정립하고, AI·빅데이터의 고유한 특성이 반영될 수 있도록 절차 등을 개선한다.

셋째, 국방과학기술 거버넌스를 재정립으로 국방과학기술 컨트롤타워 체계를 재정립하고, 군 참여범위 확대 및 군의 연구개발 역량을 강화할 것입니다. 또한 국방과학기술 기획·관리·평가체계를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다.

넷째, 국방과학기술 인력양성 및 인프라를 강화로 국방연구인력의 전문성을 고도화하고 산·학·연의 참여 활성화를 통해 연구인력 저변을 확대한다. 또한 국방 시험평가 역량 강화를 위하여 인프라를 확보할 계획이다.

 다섯째, 국방과학기술 민·군협력 강화 및 국제협력 확대로 국가연구개발체계와 협력을 강화하고 국가연구개발 성과 활용을 제고한다. 또한 한·미 국방과학기술협력을 강화하고 기존 국제협력 관계를 발전적으로 재검토한다.

한편, 국방부는 이번 '’2023~2037 국방과학기술혁신 기본계획' 에서 제시된 추진과제를 체계적·실질적으로 이행하기 위해, 방위사업청과 협력하여 '국방과학기술혁신 시행계획을 수립하고 이행현황을 매년 점검해 나가는 등 동 계획에서 설정한 목표와 전략을 성공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인공지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