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스템 및 네트워킹 부문에 구 박사과정을 비롯한 '머신러닝'에 KAIST 탁지훈, '모바일컴퓨팅'에 서울대 이경진, '기계 인식, 음성 기술 및 컴퓨터 비전'에 고려대 홍성환 박사과정 등 5명

구진형 박사과정
구진형 박사과정

DGIST(총장 국양) 전기전자컴퓨터공학과 구진형 박사과정이 구글 AI의 '2023년 구글 박사 펠로우(Google PhD Fellowship)'에 선정됐다. DGIST 이성진 교수팀 소속인 구 박사과정은 ‘최신 저장장치를 활용하여 데이터 저장 소프트웨어의 효율을 개선한 연구’로 아시아권 대학 중 시스템 및 네트워크 분야의 펠로우로 유일하게 선정됐다.

구글 박사(PhD) 펠로우십은 전 세계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인공지능 및 컴퓨터 과학 분야의 유망한 연구 분야에서 활약하고 있는 인재들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으로 올해에는 전 세계에서 67명이 선정되었으며, 국내에서는 ▷시스템 및 네트워킹 부문에 구진형 박사과정을 비롯한 ▷머신러닝에 탁지훈 KAIST ▷모바일컴퓨팅에 서울대학교 이경진 ▷기계 인식, 음성 기술 및 컴퓨터 비전에 고려대학교 홍성환 박사과정 등 5명이 선정됐다.

로고 이미지
로고 이미지

구진형 학생은 “지금까지 수행한 연구 결과로 좋은 평가를 받게 됐는데, 훌륭한 환경에서 연구에 집중할 수 있게 지원해 준 DGIST와 늘 가까이서 도움을 주시는 지도교수님, 그리고 연구실 동료들 덕분이라고 생각한다. 향후에도 효율적인 저장 소프트웨어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연구에 매진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빅데이터 시대가 도래하면서 온·오프라인 상의 수많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컴퓨터 서버, 네트워크 장비, 저장장치 등에 엄청난 자원과 비용이 소모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에 활용 중인 저장 소프트웨어는 하드디스크와 같이 느린 저장장치에 최적화되어 있어서 성능, 용량, 전력 등의 측면에서 매우 낮은 효율을 보인다.

반면, SSD(Solid State Drive)와 같은 최신 저장장치는 기존 하드디스크에 비해 높은 성능과 용량을 제공하고, 장치 내에서 복잡한 계산 또한 수행할 수 있고, 성능, 용량, 전략 등에서도 하드디스크보다 높은 효율을 가지고 있다.

(오른쪽부터) DGIST 전기전자컴퓨터공학과 이성진 교수, 구진형 박사과정생 .
(오른쪽부터) DGIST 전기전자컴퓨터공학과 이성진 교수, 구진형 박사과정생 .

DGIST 이성진 교수팀은 SSD를 활용하여 다른 저장 소프트웨어들이 가지는 문제들을 다방면으로 해결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했고, 기존 시스템이 가지는 데이터 병목 현상을 제거하거나 크게 개선해 기존 대비 최대 수십 배에 달하는 저장 성능 및 전력 효율을 달성할 수 있는 새로운 소프트웨어를 개발했다.

해당 연구를 통해 저장 시스템에서 필수적인 캐싱 시스템, 파일 시스템, 분산 시스템 등에 대한 논문 다수가 컴퓨터 시스템 분야 최우수 국제학술대회인 EuroSys(2023), OSDI(2021), ASPLOS(2019)에 게재되어 그 우수성을 인정받기도 했다.

 DGIST 전기전자컴퓨터공학과 이성진 교수(구진형 박사과정생 지도교수)는 “구진형 박사과정생은 뛰어난 연구력뿐만 아니라 훌륭한 품성을 지닌 재원으로 향후 컴퓨터 시스템 연구를 주도할 인재로 성장하리라 기대한다”고 말했다.

DGIST 전기전자컴퓨터공학과 박경준 학과장은 “구글 박사(PhD) 펠로우십은 컴퓨터과학 분야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역량을 지닌 대학원생을 선발하는 프로그램으로, 이번 구진형 학생의 펠로우 선정은 DGIST의 컴퓨터 과학 연구 수준이 세계 최고 반열에 올라왔음을 입증하는 사례가 될 것이다”고 밝혔다.

한편, Google PhD Fellowship은 구글 AI 연구원과 관련 기관이 세계에서 가장 유망한 미래 젊은 학자로 인공지능(AI) 14개 분야를 대표하는 학생을 선정해 수여된다. 현재, 14개 분야는 알고리즘, 최적화 및 시장, 전산 신경 및 인지 과학, 헬스케어, 인간 컴퓨터 상호 작용, 기계 학습, 기계 인식, 음성 기술 및 컴퓨터 비전, 모바일 컴퓨팅, 자연어 처리(정보 검색 및 추출 포함), 개인 정보 보호 및 보안, 프로그래밍 언어 및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양자 컴퓨팅, 추천 시스템, 구조화된 데이터 및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및 네트워킹 등이다.

저작권자 © 인공지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